신화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신화, 광기 그리고 웃음 이 책이 “서문”에 이어지는 3편의 글, “반성이라는 신화적 존재 - 헤겔, 셸링, 그리고 필연성의 우연성에 대한 소고”, “두 자유 사이의 훈육 - 독일 관념론의 광기와 습관”, “피히테의 웃음”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런지 제목도 각각의 글에서 따온 이다. 제목(부제목 포함)을 보면 독일관념론에 관한 글인 것은 알겠는데, 저자들이 말하고자 하는 주제가 무엇인지는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다행히 친절하게도 저자들 스스로 “칸트 이후의 관념론자들은 칸트와 마찬가지로 선험적 환상에 열중했지만 그와는 달리 환상(현상)이 진리(존재)의 구성요소라고 주장한다. 이것이 바로 이 저작 전체의 주제이다.”1)라고 밝힘으로써 하나의 가이드북을 가지고 독일 관념론 철학이라는 방대한 숲으로의 여행을 떠날 수 있었다. 먼저, 독..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