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은 아이들만 보는건가?
유독 우리나라는 애니메이션에 대한 선입견이 존재하는듯하다
개인적으로 애니메이션을 좋아하지만 극장에서 보기가 꺼려진다
아이들 세상속에 불쑥 끼어든 느낌이랄까
그래서 좋아하지만 블루레이 구입해서 편하게 집에서 감상한다
차세대 감성 로봇 [ 월ㆍE ]의 지구 구하기!!
개봉과 동시에 전세계적인 센세이션! 웃음과 감동의 가족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 제작진이 선사하는 애니메이션 명가 디즈니/픽사 최신작
[월ㆍE]는 아카데미상 수상 경력을 가진 [니모를 찾아서]의 작가 겸 감독 앤드류 스탠튼의 최신작이다. 스탠튼 감독은 1990년 픽사에 세컨드 애니메이터로 입사, 픽사의 첫 단편 애니메이션의 시나리오를 썼고 [벅스 라이프] [몬스터 주식회사]의 공동 감독, 기획 등을 맡았으며 [니모를 찾아서]로 아카데미를 수상하기도 했다.
[월ㆍE]의 오리지널 아이디어는 1992년 픽사의 창립 멤버인 존 라세터, 피트 닥터 그리고 고인이 된 조 란프트가 함께 점심을 먹는 자리에서 태동됐다. 첫 영화 [토이 스토리]의 제작이 막 시작됐던 무렵인데, 이 자리에서 이들은 [벅스 라이프] [몬스터 주식회사] [니모를 찾아서]의 아이디어를 쏟아 놓았다. 이 자리에선 또한 미래 세계의 로봇을 주인공으로 한 판타지물에 대한 아이디어도 처음으로 나왔으며, 그것이 바로 [월ㆍE]의 영감이 되어 주었다. 앤드류 스탠튼은 우주에 남겨진 가장 인간적인 존재가 결국은 한 기계 라는 컨셉이 상당히 신선했었다고 당시를 회상한다.
한편, [월ㆍE]는 디즈니/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9번째 작품이기도 하다. 두 회사의 합작은 항상 작품성과 흥행성 모두 최상의 결과를 낳아 왔다. 가장 최근작인 [라따뚜이] 역시 올해 아카데미 최우수 애니메이션 영화상을 수상했으며, 전세계에서 엄청난 흥행 성공을 거둔 바 있다. 디즈니/ 픽사의 이전 8개 작품의 전세계 총 흥행수입은 자그마치 43억 달러에 이를 정도! 올 겨울, 지난 여름 우리를 찾아온 새로운 명품 애니메이션 [월ㆍE]가 애니메이션 명가의 진가와 명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줄 것이다.
개봉과 동시에 전세계적인 센세이션! 웃음과 감동의 가족 애니메이션!!
미국 개봉에선 첫 주 3,992개 극장으로부터 주말 3일 동안 6,309만 불의 엄청난 수입을 벌어들이며 개봉 주말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는데, 이는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의 여름시즌 경쟁작 [쿵푸 팬더]의 개봉수입 6,024만 불을 앞서는 것으로, 역대 6월 개봉작 중 두 번째로 높은 주말흥행성적이고 (1위는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의 9,369만 불이고 3위는 2003년 작 [헐크]의 6,213만불), 역대 픽사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중에서도 3번째로 높은 수입인 동시에(1위는 [인크레더블]의 7,047만불, 2위는 [니모를 찾아서]의 7,025만불, 4위는 [몬스터 주식회사]의 6,258만불), 역대 G등급(모두 관람가 등급) 영화 중에서는 2위(1위와 3위는 [니모를 찾아서]와 [몬스터 주식회사]로, [인크레더블]은 PG 등급이다)에 해당하는 대단한 기록이다.
국내에서도 [월ㆍE] 신드롬을 일으키며 어른과 아이 모두가 좋아하는 웃음과 감동을 준 2008년 최고의 애니메이션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ET 세대의 애틋한 감성을 기계 문명에 익숙해지는 새로운 세대에게 전파한 것 같은 이색적이고 아름다운 스토리가 최고.
쏟아지는 호평과 이미 명작 반열에 오른 최고의 애니메이션!
미국 개봉 시 평론가들은 100% 만장일치로 근래 보기 힘들 정도의 열광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영화 평론가 시카고 선타임즈의 로저 이버트는 별 넷 만점에 세 개 반을 부여하며 이 영화는 세가지 면에서 모두 성공을 거두고 있다. 매력적인 애니메이션으로서, 시각적 경이로움(visual wonderment)으로서, 또 훌륭한 공상과학 스토리(decent SF story)로서. 라고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고, USA 투데이의 클라우디아 퓨즈는 별 넷 만점을 부여하면서 유머와 따뜻한 마음, 그리고 항상 기억될 만큼 사랑스러운 캐릭터들을 가진 이 영화는 이례적일 정도로 매력적인 모험물.이라고 높이 평가했으며, 할리우드 리포터의 커크 허니컷은 픽사 스튜디오는 자신의 최고걸작 기록을 깼다. 또다시.라고 흥분했고, 뉴욕 타임즈의 A.O. 스캇은 분명히 이 영화는 성실한 친환경적 동화이지만, 동시에 감성적인 순수함에 있어서는 채플린영화 같은 달콤하고 심플한 러브 스토리이다.고 깊은 호감을 나타내었다. 또, 월 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겐스턴은 나는 이 영화덕분에, 그 동안의 리뷰에서 M 으로 시작하는 극찬을 안 썼던 나만의 금기를 깨뜨리게 되었다. 이 눈부신(maginificent) 영화는 마스터피스(masterpiece). 라고 극찬을 보냈고, 뉴욕 포스트의 루 루메닉 역시 이 영화를 마스터피스 라 칭하면서, 언젠가, 이 영화를 위한 대학 강좌들이 생기게 될 것.이라고 박수를 보냈으며, 보스톤 글로브의 타이 버는 올해 지금까지 나온 최고의 미국 영화.이라고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타임의 리차드 콜리스는 [니모를 찾아서]이후 픽사의 가장 매력적인 오락물.이라고 칭했다. 이어서, LA 타임즈의 케네쓰 튜란은 정말 새로운 동시에 여전히 친숙한 요소를 지니고 있는 이 절반-로맨스, 절반-SF(part romance, part SF) 의 픽사 최신작은 멋지고, 경이로움으로 가득차 있다(wonderful and full of wonder). 라고 아낌없는 호평을 보냈고, 워싱턴 포스트의 존 앤더슨은 기획과 실행, 그리고 메시지, 모든 측면에서 보석 같은 작품.이라고 감탄했으며, 빌리지 보이스의 로버트 윌론스키는 움찔 놀랄만큼 웅장한 동시에 마음 깊숙한 곳을 뒤흔들 정도로 심오한 작품.이라고 환호했고, 달라스 모닝 뉴스의 크리스 보그너는 극한(sublime)에 근접한 이 영화는 앞으로도 몇 년 동안 사람들이 즐기고 분석할 영화.라고 요약했다. 또, 뉴스데이의 레이퍼 구즈만은 찰리 채플린의 걸작 무성영화들처럼, [월-E]는 순수한 시각적 마법이다. 여기에 더해 이 영화는 짓궂은 풍자의 펀치도 날리고 있다.고 고개를 끄덕였고, 시카고 트리뷴의 죠프 버크샤이어는 기회가 있을 때, 이 영화처럼 대단한 걸작을 놓치는 우를 범하지 마시라.고 충고했으며, AP 통신의 크리스티 리마이어는 관객들은, 자신의 마음을 감동시킨 무엇인가를 목격했다는 생각에, 흔하지 않은 즐거움을 가지고 극장 문을 나서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현존하는 최고의 애니메이션 제작진의 [월 ㆍE] 프로젝트!!
기획, 음향, 음악, 애니메이션, 특수효과 어느 하나 빠질 것이 없다.
[월ㆍE]의 제작자는 짐 모리스이다. 18년간 ILM사의 제작 중역으로 일하며 [스타워즈] 에피소드 1, 2편과 [진주만], [어비스], [해리포터] 시리즈 세편 등을 통해 시각 효과의 새 장을 여는데 기여했던 인물이다. 더불어 린지 콜린스가 이번 작품의 공동 제작을 맡았다.
[월ㆍE]의 다양한 로봇 음성은 아카데미 4회 수상 경력의 사운드 디자이너 벤 버트 작품이다. [스타워즈]에 나오는 전설적인 로봇 R2D2의 목소리도 그가 만든 것이다. 사운드 전문가로 30년 일한 경력을 살려, 그는 이번 영화 제작 초반부터 로봇 캐릭터들의 음성과 우주선의 소리, 주변 환경의 소음까지 모든 사운드를 총괄해서 맡았다. 버트는 [스타워즈]에서 일한 경험이 로봇과 외계인의 음성을 창조하는데 큰 도움이 됐지만, [월ㆍE]는 기존 작품에서 얻은 노하우보다 한층 업그레이드된 기술을 요구했다고 토로한다.
인간의 음성이 아님을 관객이 확실히 느낄 수 있도록 완벽한 로봇 음성이되, 인간적인 친근함과 사랑스러움을 느낄 수 있는 그런 사운드를 만드는 게 제일 큰 과제였다. 개성이 없는 기계음도 안되고 그렇다고 배우가 커튼 뒤에서 로봇 흉내를 내는 소리 같아도 안 되는 일이었다. 기계가 내는 소리지만 인간의 따뜻함과 지성(혹은 영혼)을 지닌 그런 사운드. 그 양립할 수 없을 듯한 두 가지 요소의 균형을 절묘하게 맞추는 작업이 힘들었다는 것이 버트의 설명!
한편, [월ㆍE]의 오리지널 음악은 아카데미 8회 후보 경력의 토마스 뉴먼이 맡았다. 그는 스탠튼 감독의 [니모를 찾아서]의 음악도 작곡한 바 있다. 그리고 오리지널 주제곡은 로큰롤의 전설 피터 가브리엘이 작곡하고 직접 불렀다.
카테고리 없음